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QUICK MENU
  • 로그인
  • 사이트맵
  • 고려대학교

죽음교육연구센터 중・장기 중점연구프로그램

죽음교육연구센터의 중・장기 중점연구프로그램은 아래와 같다. 모든 프로그램은 죽음학(싸나톨로지/Thanatology)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그 지향점은 치유에 있다. 각 프로그램은 개별독립된 것이 아니라, 상호 유기적 관계로 이어져 있다. 각 프로그램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Ⅲ. 애도교육프로그램

비탄은 과거 경험의 부분이며, 삶의 체험의 문맥에서 설명되어져야 한다. 일상생활에 처한 인간 자신의 경험은 다른 시대와 공간에 따라 다른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추상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중요한 것은 내담자의 직접경험에 대한 해석은 과거의 객관적 사실에의 도달이 아니라 지금의 ‘나’의 생의 경험을 통해 과거의 ‘나’의 생의 경험과 만나는 것이다. 이러한 만남은 곧 그에게 있어서 이해(Das Verstehen)이다. 내담자의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문제가 성립되고 있는 특정한 구체적 맥락의 연구와 그러한 문제의 성격을 규정짓고 있는 사회문화적 제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즉 내담자의 내면세계에서의 의미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내담자의 의식을 재구성 해 본다. 이 때 재구성이 교사의 경험의 확신이 아니라, 내담자의 독자성(otherness)과 자율성(hermeneutical autonomy)에 의해서 진행되어야 한다. 애도교육은 내담자와 상담자의 상호 ‘이해’에서 비롯된다.

애도교육프로그램
연구범주 내용
유식사상과 프로이트(융)의 무의식과 후설의 의식과 기억의 문제 기억과 의식의 관계는 애도론의 핵심 키워드이다. 기억과 의식의 문제를 불교의 유식학과 프로이트의 무의식, 융의 무의식 개념을 후설의 의식과 지향성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애도학 이론의 기초를 다진다.
싸나톨로지에서의 애도이론과 《예기》의 애도구조 분석비교 분노와 슬픔, 우울, 거부 자체가 치유의 과정이다. 감정적 표출이후 찾아오는 후련함의 신체적 작용이 애도의 형식적 측면인 상례(喪禮)·제례(祭禮)에서 어떻게 체화되어 비탄의 감정이 해소되는지를 연구 한다.
야스퍼스와 빅터프랭클의 "실존의미치료"분석 야스퍼스의 한계상황과 빅터프랭클의 의미치료 및 로고테라피를 연구함으로서, 상실과 비탄에 빠진 내담자에게 실제적인 도움과 방법론을 연구한다.
인지심리학과 Neimeyer "의미형성" 연구 애도의 중심에는 심적 내재화인 의미의 형성에 있다. 인지심리학과 죽음학을 통섭한 Neimeyer의 이론을 분석함으로써 의미형성의 심적 내재화의 작동방식을 연구한다.
공감론과 Worden의 "애도상담" 분석 워든의 애도상담의 원리를 살펴봄으로써 내담자 치유의 원리와 구조를 밝힌다.
감정론과 "이중과정모델"(Stroebe와 Schute)분석 Schute의 이중과정모델의 구조를 밝히고, 감정자체가 또 하나의 치유의 과정임을 밝힌다.
Klass의 의미론과 "인간의 가능성" 연구 인간은 의미의 동물이다. 의미는 인간이 살아가는 모든 동기의 원동력이다. Klass의 의미론 분석을 통해 "인간의 가능성“을 연구한다.
현상학의 '의식'과 Shapiro의 '의미구성적 관점' 이해 현상학적 '의식'을 지향성과 기억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에 바탕을 둔 Shapiro의 '의미구성적 관점'을 분석한다.
최면학과 ‘받아들일 수 없는 사별’의 수용과 분석 무의식적 억압과 거부가 어떻게 최면학적 방법론으로 수용되는지를 분석한다.
touch slide